티스토리 뷰

 

기준금리 인상과 전세 보증금 사기 증가 등으로 최근 2년 사이 월세를 선호한다는 임차인이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방은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이용자 1306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임차인의 42.6%가 월세를 선호한다고 답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2020년 10월 같은 설문에서 월세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17.9%에 그쳤던 것에 비해 월세 선호 비중이 두 배 넘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임차인이 월세를 선호하는 이유는

△목돈 부담이 적어서(40.4%) △사기, 전세금반환 등 목돈 떼일 부담이 적어서(20.7%)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커져서(13.5%) △단기 계약이 가능해서(11.2%) 등의 순이었습니다.

전세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은 역시나 전세금 마련을 위한 목돈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겠죠.

 

눈에 띄는 부분은 '사기, 전세금반환 등 목돈 떼일 부담이 적어서'라는 답변이 2020년 11.4%로 2년 만에 두 배가량 늘었습니다.

 

월세 선호가 크게 늘어났지만, 여전히 전세 선호 비중이 높았습니다.

임차인의 57.4%가 전세를 선호했고 전세를 살고 있는 임차인의 85.4%는 향후에도 전세 거래를 희망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30대에서 60% 이상이 ‘전세’를 선호해 다른 연령대(40~50%대)보다 높게 나타났고 거주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인천 수도권에서 상대적으로 ‘전세’ 선호 응답비율이 높았습니다. 세대규모별로는 4인 이상 가구에서 ‘전세’ 선호 응답률이 더 높았습니다.

 

임차인이 전세 거래를 선호하는 이유는 △매월 부담해야하는 고정지출이 없어서(53.8%) △월세보다 전세대출 이자부담이 적어서(22.0%) △내집마련을 하기 위한 발판이 돼서(10.1%)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임대인도 53.5%가 전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20대에서 전세 선호가 86.7%에 달해 가장 높았지만, 50대 이상부터는 월세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했습니다. 직방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월 수입이 없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안정적인 월 고정 수입처로 주택 월세를 기대해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어쨌든 금리인상으로 내집 마련은 멀게만 느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