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휴가 시 여행지에서의 커피 주문은 지역 문화의 일부로 인식하고 에티켓을 지켜주는 것이 좋다.
커피를 주문하는 방법도 문화가 다른 나라 별로 기억하고 여행을 하는 것이 좋다.

 

아니, 휴가 가서 커피 주문하는 방법도 따로 있다고? 의아해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커피 주문하는 방법이 따로 있는 게 맞아요. 딸 아이가 유럽 여행은 물론이고 일본 여행도 다녀왔는데 별 것 아니지만 그들만의 문화를 존중하는 차원에서라도 알아두면 좋은 카페 문화가 있다고 하더군요. 동양과 서양의 생활문화가 다른 것에서 비롯된 카페 문화도 다를 수밖에 없는 거겠죠.

특히나 카페 문화는 사실 동양의 것이 아니긴 해요. 그래서 분위기 있게 커피 마시는 모습을 떠올리면 유럽풍 건물과 찻잔이 먼저 떠오르는 것이겠죠.  해외여행 중 잠깐 쉬기 위해 들어가는 카페에서 사진 한 장 찍는 분위기도 멋스럽잖아요. 그러나 나라마다 카페 예절과 주문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식으로 접근하면 당황할 수 있습니다. 주요 국가별 카페 문화의 차이점과 주문 시 유의할 표현, 실제 팁 문화를 소개하겠습니다.

해외에서 커피 한 잔도 ‘문화’입니다

여행 중 잠시 들른 카페에서 따뜻한 커피 한 잔을 마시는 시간은 작지만 강한 만족을 줍니다. 하지만 나라마다 카페 문화는 꽤 다릅니다. 어떤 나라는 앉아서 천천히 음미하는 ‘문화적 행위’에 가깝고, 어떤 나라는 빠르게 테이크아웃해 이동 중에 즐기는 기능적 습관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우리가 익숙한 한국식 카페 문화만을 기준으로 행동할 경우, 현지에서 의도치 않게 무례한 인상을 주거나 주문을 어려워하는 상황이 생긴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럽·미국·일본 등 주요 여행지의 카페 문화 차이와 함께, 실제로 주문할 때 주의해야 할 표현, 팁 문화, 자리 예절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유럽 – 자리, 결제, 커피 종류까지 모두 다릅니다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서 커피는 단순 음료가 아닌 하루의 일상과 여유의 일부입니다. 때문에 한국과 달리, 커피를 빠르게 마시고 나가는 문화가 아닙니다. 유럽 카페에서 주의할 점: - 자리에 먼저 앉으면 주문을 받으러 옵니다(셀프 주문 아님). - 바에서 마시는 가격과 테이블에 앉아 마시는 가격이 다름(Bar vs Table 가격). - 에스프레소 중심: 아메리카노는 일반적이지 않아요. - 메뉴판에 없어도 “Café lungo” “Café americano”처럼 말하면 제공 가능. - 커피와 함께 제공되는 물은 대부분 무료 → 먼저 마셔도 됨. 실전 팁: 이탈리아: 에스프레소는 서서 마시고 바로 나오는 게 보통. 프랑스: “Un café, s’il vous plaît” → 에스프레소 1잔. 독일: “Ein Kaffee zum Mitnehmen” → 테이크아웃 커피. 주의: 유럽에서는 셀프 정리 개념이 없고, 직원이 치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미국·캐나다 – 빠르고 실용적, 하지만 이름은 꼭 알려야 합니다

미국과 캐나다는 ‘To go’ 문화가 발달해 있으며, 대부분의 카페가 빠른 회전을 기본으로 합니다. 주문부터 픽업까지의 과정이 분업화되어 있으며, 간단하지만 체계적인 방식이 특징입니다. 주문 절차: 1. 카운터에서 메뉴 주문 → 사이즈, 우유 종류, 샷 추가 여부 선택. 2. 이름을 말하면 컵에 적어줌 → 나중에 이름 불러줌. 3. 픽업 존에서 대기 → 음료 받기. 주의할 점: - 사이즈는 Tall / Grande / Venti 등 스타벅스식 표현이 일반적. - 우유 종류(소이, 아몬드, 오트밀크 등)를 선택할 수 있음. - “Room for cream?” → 크림 넣을 여유를 컵에 남겨줄까? → Yes/No로 답변. 팁 문화: - 카페에서도 팁은 선택 사항이지만, 일반적으로 1달러 또는 금액의 10% 정도,  기계 결제 시 제안됨. - 특히 로컬 카페에서는 팁을 주는 것이 예의로 간주됨. 실전 표현 예시: “I’ll have a small latte to go, please.” “My name is Jisoo.” → 픽업 시 이름으로 불림.

3. 일본 – 조용한 분위기, 셀프 서비스, 자리 배려가 중요

일본의 카페는 전반적으로 조용하고 정돈된 분위기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실내에서 통화하거나 큰 소리로 대화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카페 이용 방식: - 대부분 선결제 + 셀프 서비스 - 테이블에 물을 놓는 경우가 거의 없음(물은 요청해야 제공). - 흡연석/비흡연석 구분이 아직 남아 있는 카페도 있음. - 자리를 먼저 잡는 경우 드물며, 자리 맡기 위해 짐을 두는 문화도 있음. 주문 시 표현: - “코히 하나 쿠다사이” → 커피 한 잔 주세요. - “테이크아웃 데” → 포장으로 주세요. - “아이스냐 호토냐” → 아이스/핫 여부 선택. 팁: 일본은 팁 문화가 없으며, 남기면 오히려 무례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자리 정리는 기본적으로 손님이 합니다. 사용한 컵, 트레이는 지정된 곳에 반납하세요.

커피는 언어보다 감성, 하지만 예절이 감성을 완성합니다

해외여행에서 카페는 단순한 음료 공간을 넘어, 그 나라의 일상과 문화를 들여다볼 수 있는 창구입니다. 커피를 주문하는 한 마디, 컵을 받는 손동작, 자리를 고르는 방식까지 모두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됩니다. 그 나라의 방식에 조금만 귀를 기울이고, 기본적인 예절을 알고 간다면 작은 커피 한 잔도 훨씬 더 깊이 있는 여행의 한 장면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커피를 마시는 방식’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말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