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 온누리 상품권 환급을 확대하는 방안도 포함됐습니다. 추경안이 정부안대로 국회에서 통과되면 지난해보다 카드 사용액이 늘어났거나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를 하면 사용액의 일부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디지털온누리상품권은 상품권 금액의 10%로 할인가로 충전할 수 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최대 200만 원까지 보유할 수 있으며 10% 할인가로 충전이 가능하다.

 

1. 온누리상품권 환급, 왜 주목받을까?

전통시장을 자주 이용하신다면 요즘 뜨는 이 소식, 귀 쫑긋하게 만들 거예요.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환급 사업을 본격 추진 중입니다!

1)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뭐가 다를까?
요즘 다들 앱 하나로 결제하는 시대잖아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도 앱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어요. 계좌나 카드만 등록하면 QR코드로 결제까지 OK!

2) 지류형 상품권과 뭐가 다르지?
지류형 온누리상품권은 은행에서 현금으로만 살 수 있습니다. 최대 50만 원까지, 5% 할인으로 구매 가능합니다. 하지만, 오프라인 전통시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해서 활용면에서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보다 떨어집니다.

📊 온누리상품권은 현금영수증 발급도 되고, 상품권 액면가의 60%(1만원 상품권의 경우 6,000원) 이상 사용하면 잔액 환불도 가능하기 때문에 알뜰족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3) 환급 혜택, 어떤 식으로 받을까?
올해는 카드 실적이 늘거나 온누리상품권을 많이 쓴 분들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을 해주는 제도가 생겼어요. 이건 작년보다 훨씬 확대된 혜택입니다.

일반 상품권 사용은 신용카드 전월 실적 혜택을 받지 못하지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카드 사용 실적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전월 적 채우기에도 유리합니다. 또한, 전통시장 사용 시 40% 소득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2. 온누리상품권 어떻게 활용하면 더 똑똑할까?

1) 어디서 쓸 수 있나요?
오프라인 전통시장은 ‘온누리상품권 스티커’가 붙은 곳이라면 대부분 OK! 온라인에서는 ‘온누리시장’, ‘온누리전통시장’, ‘온누리굿데이’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찾기

 

전통시장에서 김치, 나물, 국 등을 파는 반찬가게, 딸기, 블루베리, 참외 등을 파는 과일가게, 심지어 세탁소까지 다양하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상품권보다 더 넓은 선택권을 누리게 됩니다.

2) 신용카드와 연계하면 더 좋은 이유?
디지털 온누리상품권과 할인카드를 함께 쓰면 더블 할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신한 ‘딥 스토어’: 생활쇼핑 가맹점 최대 15% 할인
✅ 국민 ‘우리동네 체크카드’: 정육점 10%, 과일가게 5% 할인
✅ 우리 ‘DA카드의정석Ⅱ’: 생활 업종 어디든 1.3% 할인

온누리상품권 환급과 할인 혜택을 꼼꼼하게 챙긴다면 어려운 살림살이에 더 큰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 디지털은 10% 할인, 환급 가능, 자동충전까지!
✔️ 지류형은 5% 할인, 오프라인 전용, 현금 결제
✔️ 카드와 연계하면 추가 할인까지!

3.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구입 방법

✅ 1. 온누리상품권 앱 설치
**앱스토어(아이폰) 또는 구글플레이(안드로이드)**에서
👉 “온누리상품권” 검색 후 설치하세요.

✅ 2.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
간단한 휴대폰 인증으로 회원가입을 완료합니다.
(본인 명의 계좌 or 카드 등록 필요)

✅ 3. 충전하기
앱 내에서 충전 메뉴 클릭 → 원하는 금액 입력
계좌이체, 신용/체크카드로 충전 가능

최대 200만 원까지 충전 가능, 10% 할인 적용
예: 20만 원 충전 시 18만 원만 결제하면 OK!

✅ 4. 결제 방법
전통시장 등 가맹점에서 QR코드 스캔하거나 앱 내 카드번호로 결제하면 됩니다!

자동충전 설정도 가능: 잔액 떨어지면 자동으로 충전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디지털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 #정부지원 #할인혜택 #소득공제 #알뜰소비 #생활꿀팁 #카드할인 #전통시장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