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은행이 경기·인천·대전·세종 등의 지역에서 향후 1년간 집값 하락 위험이 높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지난 28일 한은이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에 실린 ‘지역별 주택시장 동향 및 리스크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가격 고평가, 차입여건 악화 등 주택시장 하방 요인이 공급부진 등 상방 요인보다 우세한 가운데 수도권 및 광역시 일부 지역이 하방 요인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노출됐다”고 밝혔는데요.
최근 주택시장은 수도권·비수도권, 시·도간 주택가격의 등락이 다르게 나타나는 등 지역별로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지역별로는 세종과 대구 등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 하락 폭이 컸습니다. 고점 대비 가격 하락 폭이 가장 큰 곳은 지난 8월 기준으로 세종(-7.93%)과 대구(-3.37%), 대전(-1.28%) 등의 순입니다.
그 밖에 인천(-1.21%)과 경기(-0.77%), 부산(-0.37%), 서울(-0.33%) 등의 순으로 하락 폭이 컸습니다.
한은이 주택가격 수준과 차입 여건, 공급 물량 등에 따라 지역별 주택 시장 여건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과 광역시 일부 지역이 집값 하락 요인에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가격의 경우 소득 대비 주택가격(PIR)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임대료 대비 주택가격(PRR)은 세종과 서울 지역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주택가격 상승기 직전인 2019년 9월과 비교해 가장 고평가된 곳은 인천입니다.
차입여건은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지속해서 악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출자의 소득 대비 대출 잔액 비중(LTI)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LTI 비중 높은 곳은 세종과 경기, 대구, 인천 등이 꼽혔습니다.
한은은 “(주택 가격 수준과 LTI 등이 높은) 이들 지역에서 (가격) 하방압력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는데요. 향후 2년간 아파트 입주 물량은 대부분 지역에서 최근 3년 평균 수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다만 대구와 인천, 충남 지역은 향후 입주물량이 과거 평균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한은이 이런 17개 시도별 데이터를 이용해 향후 1년간 주택가격 하방리스크(HaR·House prices-at-Risk)를 산출한 결과 향후 1년간 집값 하락 위험이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집값 하락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와 인천, 대전, 세종 순. 제주는 집값 추가 하락위험이 가장 낮았습니다. 공급 부진이 지속하는 데다, 외지인 등의 투자 확대 등이 하락 위험을 낮춘샘입니다.
'뉴스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물량 1년 새 두 배 이상 (1) | 2022.10.01 |
---|---|
판교 주요 상권, 임대료 증가세 (0) | 2022.09.30 |
'로또' 과천 오피스텔도 무피(프리미엄 없는) 등장 (0) | 2022.09.28 |
서울시, 신속통합기획제도로 금호21구역, 신당10구역 등 재개발 속도 (0) | 2022.09.27 |
신혼부부, 청년층 도심 속 내 집 마련 기회 늘어난다 (1) | 2022.09.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송도아파트하락
- 에인절스튜지오
- 경제뉴스
- 스쿠루지영감이나오는크리스마스캐럴
- 거제도
- 한국은행
- 재테크
- 기독교에서이야기하는죄
- 예수님이부활하신이유
- 거래절벽
- 백만장자
- 애니메이션예수의생애원작
- 인상파대표적인화가
- 부동산R114
- 직방
- 규제지역해제
- 문도픽사얼리버드예매
- 문도픽사
- 한국부동산원
- 부할절날짜계산방법
- 주택담보대출
- 인천서구검단신도시
- 부동산뉴스
- 어린이가좋아할체험전시
- 2025부활절날짜
- 우리주님의생애
- 부활절의미
- 투기과열지구해제
- 예수님이십자가에서죽어야하는이유
- 청년원가주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